✏️ 레인보우로보틱스 (KB증권) 22.08.16(화)
✔️ 의료용 로봇부터 국방 로봇까지 모두 가능
합니다
▶️ 기업개요: HUBO LAB에서 분사하여 설립된
로봇 전문 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11년 카이스트 내 연구소
인 HUBO LAB에서 분사하여 설립된 로봇 전문
기업이다. 주요 제품은 1)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2) 협동 로봇, 3) 천문마운트시스템이다. 2022년
1분기 실적 (K-IFRS 연결)은 매출액 36.8억원
(+181.9% YoY), 영업이익 6.2억원(흑자전환 YoY,
영업이익률 16.9%)을 기록했으며, 전체의 매출의
약 80% 이상이 협동 로봇에서 발생했다.
▶️ 체크 포인트 1.협동 로봇 시장규모는 2025년
123.0억 달러 (CAGR +50.31%) 전망
주요 선진국에서 인구 고령화로 인해 인구 감소
가 나타나고 있고 주 52시간 도입에 따른 인간노
동의 대체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
다. IFR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전세계 협동 로봇 시장
규모는 7.1억 달러 → 2025년 123.0억 달러로
연평균 CAGR +50.31%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 체크 포인트 2. 핵심 부품 내재화로 가격 경쟁
력 확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로봇 제조에 필요한 주요
핵심 부품 내재화에 성공하며 가격 경쟁력을 확보
했다. 협동 로봇에 사용되는 감속기, 구동기, 엔코
더, 브레이크, 제어기가 전체 원가의 60%를 차지,
이 중 고정밀 감속기는 전체 원가의 32%를 차지
할 만큼 고부가 핵심 부품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
는 감속기 자체 개발에 최근 성공한 것으로 파악
되며 추가적인 원가 확보와 더불어 향후 2년 내
상용화가 가능할 전망이다. 현재 공장 이전을 계
획 중이며 2023년 말 완공 시 로봇 생산 Capa는
연간 1,000대 → 3,000대로 큰 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 체크 포인트 3. 라인업 확장으로 신사업 추진
특히 핵심 부품의 내재화를 통해 가격 경쟁력
확보 외 로봇 제어에 필요한 알고리즘도 자체
개발을 완료하여 사용자 환경에 최적화된 로봇
공급이 가능하다. 이를바탕으로레인보우로보틱스
는 신성장 동력 확보 차원에서 기 보유한 로봇
기술을 응용하여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여 1) 자율
이동로봇, 2) 의료용 로봇, 3) F&B 시장 진출을
계획 중이다
▶️ 리스크 요인: 1) 경쟁심화, 2) 원가 상승
리스크 요인은 신규 경쟁사 진입에 따른경쟁심화
와 원가 상승에 따른 수익성 하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