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레이더(1월 26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KOSPI, 외국인은 귀환중』
KOSPI는 1.2% 상승한 2,498p. 소외받던 KOSPI, 외국인 6거래일 연속 순매수에 아시아 단독 강세
- 미국 주식시장은 양호한 경제지표에 물가도 하락. 경기 연착륙 기대감 키우며 상승세 지속
: 4분기 GDP 예상치 크게 상회하며 경기 침체 우려 불식. PCE 물가 역시 하락. 물가 둔화 및 비둘기파적인 ECB 통화정책회의에 미 국채 10년물 금리 하락
: 테슬라 실적 예상치 하회 발표 후 크게 급락. 인텔 역시 가이던스 하향에 반도체 업종 동반 약세. IBM은 AI 수요로 인한 호실적 발표에 AI 테마 상승세 지속
- KOSPI는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전환. 금리 인하에 연초 이후 낙폭 과대했던 성장주 매수세 유입
: 외국인 KOSPI 현물 6거래일 연속 순매수. 선물 4,000여계약 가까이 순매수 하며 2거래일 연속 순매수. 지수 하방압력 가했던 외국인 자금 이탈 줄어들며 KOSPI는 2,500선으로 복귀하는 양상
: 2차전지 밸류체인, 소프트웨어,헬스케어 업종 등 연초 이후 디스인플레 기대감 완화되며 낙폭 확대했던 성장주 위주 강세. PF 우려에 하락 거듭했던 건설업종도 낙폭 과대 맥락. 시총 상위 대형주 상승에 지수 견인
: 전일 호실적 발표했던 기아, SK하이닉스 모두 상승하며 실적 영향력 지속. 낙폭 과대 업종 및 실적 개선 주도 업종 모두 강세
KOSDAQ은 1.8% 상승한 838p. 실적시즌 영향에 업종간 순환매 일어나는 변동성 높은 장세
- 헬스케어, 2차전지 등 올해 들어 약세를 보였던 종목을 중심으로 저가매수세 유입되며 반등세
: KOSPI 대비 KOSDAQ 약세 야기한 2차전지 밸류체인, 에코프로 그룹주 필두 반등하며 KOSDAQ 강세
: 제약(HLB 신약 허가 기대감, 외국인 수급 유입), 반도체(인텔 1분기 가이던스 하향 영향)
원/달러 환율은 예상치 웃도는 4Q23 미국 GDP 성장률에 달러 강세되며 1.5원 상승한 1,337.3원
일본 하락. 중화권 혼조. 일본(니케이) -0.9%,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0%,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invest.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2244
위 내용은 2024년 1월 26일 11시 1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마켓레이더(1월 26일, 오전) 리서치본부 주식전략팀
『KOSPI, 외국인은 귀환중』
KOSPI는 1.2% 상승한 2,498p. 소외받던 KOSPI, 외국인 6거래일 연속 순매수에 아시아 단독 강세
- 미국 주식시장은 양호한 경제지표에 물가도 하락. 경기 연착륙 기대감 키우며 상승세 지속
: 4분기 GDP 예상치 크게 상회하며 경기 침체 우려 불식. PCE 물가 역시 하락. 물가 둔화 및 비둘기파적인 ECB 통화정책회의에 미 국채 10년물 금리 하락
: 테슬라 실적 예상치 하회 발표 후 크게 급락. 인텔 역시 가이던스 하향에 반도체 업종 동반 약세. IBM은 AI 수요로 인한 호실적 발표에 AI 테마 상승세 지속
- KOSPI는 외국인 현선물 순매수 전환. 금리 인하에 연초 이후 낙폭 과대했던 성장주 매수세 유입
: 외국인 KOSPI 현물 6거래일 연속 순매수. 선물 4,000여계약 가까이 순매수 하며 2거래일 연속 순매수. 지수 하방압력 가했던 외국인 자금 이탈 줄어들며 KOSPI는 2,500선으로 복귀하는 양상
: 2차전지 밸류체인, 소프트웨어,헬스케어 업종 등 연초 이후 디스인플레 기대감 완화되며 낙폭 확대했던 성장주 위주 강세. PF 우려에 하락 거듭했던 건설업종도 낙폭 과대 맥락. 시총 상위 대형주 상승에 지수 견인
: 전일 호실적 발표했던 기아, SK하이닉스 모두 상승하며 실적 영향력 지속. 낙폭 과대 업종 및 실적 개선 주도 업종 모두 강세
KOSDAQ은 1.8% 상승한 838p. 실적시즌 영향에 업종간 순환매 일어나는 변동성 높은 장세
- 헬스케어, 2차전지 등 올해 들어 약세를 보였던 종목을 중심으로 저가매수세 유입되며 반등세
: KOSPI 대비 KOSDAQ 약세 야기한 2차전지 밸류체인, 에코프로 그룹주 필두 반등하며 KOSDAQ 강세
: 제약(HLB 신약 허가 기대감, 외국인 수급 유입), 반도체(인텔 1분기 가이던스 하향 영향)
원/달러 환율은 예상치 웃도는 4Q23 미국 GDP 성장률에 달러 강세되며 1.5원 상승한 1,337.3원
일본 하락. 중화권 혼조. 일본(니케이) -0.9%, 대만(가권) +0.1%, 홍콩(항셍) +0%, 중국(상해) +0.2%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invest.com/board/message/file.do?attachmentId=322244
위 내용은 2024년 1월 26일 11시 1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일별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4주차 주간상승률 TOP30 (관리종목, 우선주, 스팩주 제외, BY 로켓) (0) | 2024.01.28 |
---|---|
2024년 01월 26일 상승률 TOP30 (0) | 2024.01.28 |
1월 26일 시장 주도주 (0) | 2024.01.26 |
2024년 1월 26일 (금) <주요이슈점검> (0) | 2024.01.26 |
25일 시간외 특이종목 (0) | 2024.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