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별 뉴스

11월 29일 시황. 유럽 증시는 상승, 한국 금리인하 주목

by 깨봄수아 2024. 11. 29.

11월 29일 시황. 유럽 증시는 상승, 한국 금리인하 주목  

◎ 해외 증시
미 증시는 휴장, 유럽 증시는 상승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우려 보다 약할 전망
블룸버그, 화웨이 공급 업체 여섯 곳 중 일부 제외
창신 반도체가 제재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알려짐
반도체 제조 시설 보다 중국 장비사에 집중한다고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ASML 2%대 상승
전일 일본 증시에서 도쿄 일렉트로닉도 6% 상승
다만 HBM 수출 제한은 최종안에 포함될 전망이라고
창신반도체 제재없다는 점 포함 국내 업체에는 부담
양호한 PCE 12월 금리인하는 거의 유력하다는 평가
유럽 추가 인하 전망과 맞물려 정책 완화 기대는 유지
다만 PCE 하락세가 정체된 점. 트럼프 정책 경계
금리인하는 점진적이되 추가 변수 등장할 가능성 주의
트럼프 불확실성에 대한 평가도 다양하게 나오는 중
라가르드, 무역전쟁은 보복 보다 협상이 중요
전면 대응 보다 미국 제품 구매 협상으로 대응해야
트럼프는 멕시코 대통령이 이민자 차반 약속했다고
BoA. 중국은 장기 투자자들도 3~6주 변수에 집중
경기 부양 기대에도 정책 변수 우려가 높다고
한국 금리인하에 대해서는 대체로 놀랍다는 반응
한국은행이 수출 둔화에 따른 성장 우려를 반영한 것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6.15 (+0.06%)
국제유가 68.88달러 (+0.231%)
변동성지수 14.15 (+0.35)
10년물 금리 4.261%
MSCI 한국지수 %
야간선물 +0.11%

◎ 전망과 전략
최근 증시는 트럼프를 지나치게 의식하는 중
상승하는 종목들 대부분 관세와 무관한 업종들
통신, 엔터, 조선 등으로 선별적 상승 시도
반면 관세 대상이 되는 자동차나 반도체는 부진
트럼프 1기 무역 전쟁에 대한 부담이 큰 것
실제 무역갈등기였던 2018~2019년 우리 증시 부진
이 기간 미국 약 20%, 글로벌 0%, 중국 -7%
그런데 우리 증시는 -11%로 중국 보다 부진했음
다만 당시는 반도체 부진 사이클과 맞물린 시기
지금은 AI가 있어 당시 대비 실적 하향은 제한적
트럼프의 정책 추진도 발언 보다는 수위가 낮을 것
과도하게 반영된 종목들은 일부 주목해 볼만
특히 PBR 밴드 하단 이하로 내려간 종목들
실적 평가 긍정적임에도 부진한 종목들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