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8일 시황. FOMC, 엔비디아, BoA의 경고 겹치며
◎ 해외 증시
FOMC 경계, 대장주 약세, BoA 증시 조정 경고에 매물
다우지수는 1978년 이 후 처음 9일 연속 하락
연준 금리 결정 앞두고 매파적 인하 가능성 경계감 부각
12월 인하 후 한동안 추가 인하 없을 것이라는 분석
이 달 초 내년 3회 예상에서 현재는 2회로 축소
강달러가 여전한 점도 부담 요인
중국 경제 부진, 미국 경제 강세. 트럼프 정책 등
여기에 독일, 프랑스의 정치 불안도 달러 강세 요인
중국 내년 성장 전망 5%. 정부 지출 늘린다는 의미
환율 상승에 일본 금리인상 가능성도 경계
다만 로이터 설문에서 응답자 91%는 동결 예상
대장주인 엔비디아의 연이은 하락도 경계 요인
11월 이 후 악재성 재료가 누적되어 왔다는 평가
AI 투자 정점, 블랙웰 과열설, 중국 규제, 경쟁사 등장 등
AI 붐 주도했던 종목 약세는 안 좋은 신호라는 해석
이 날은 조심스러운 증시 전망이 유난히 많이 나옴
BoA. 주식 시장 큰 조정 가능성 있어
글로벌 운용사 헌금 비중 3.9%로 감소
역사적으로 4% 이하는 글로벌 증시 매도 신호였다고
메가7 종목들은 내년에도 시장 대비 좋을 것
경기 경착륙 가능성은 6%로 6월 이 후 최저
Adam Crisafulli. 트럼프 효과 점차 줄어들어
규제 완화, 감세 보다 재정적자와 관세가 더 부각
당초 전망 보다 줄어든 금리인하 전망도 영향
모건스탠리. 내년 증시 오르겠지만 밸류 부담은 여전
투자 대상으로는 금융, 소프트웨어, 산업재 제시
테슬라는 이 날도 상승하며 고점 경신
미즈호.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목표가 230 → 515달러
자율주행, 로보택시 등 사업 가치 상승 주목한다고
주요 기술적 분석가들도 추가 상승 전망
Douglas Busch, 고성장 믿음에 내년 700달러도 가능
Katie Stockton, 고점 돌파하고도 탄력. 500달러 가능
미즈호. 마이크론 실적 공개 후 상승은 일시적일 것
실적 발표 후 숏커버 효과로 단기에 강세 예상
다만 D램, 낸드 시황 어려워 상승 지속은 어려워
증권사 평균 목표가는 145.92달러 수준
매출 전망 87.1억달러, EPS 1.77달러
최근 2년간 예상 하회한 매출 공개는 두 번이었음
씨티, 웨이퍼 팹 장비주 실적 예상 보다 낮아질 듯
KLA, 램 리서치,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목표가 하향
11월 소매판매 전월비 0.7% 증가, 예상 0.6% 상회
자동차와 부품, 온라인 판매 증가가 견인한 것
화이자 등 제약주, 일부 에너지주, 반도체 장비 선전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6.98 (+0.12%)
국제유가 70.21달러 (-0.35%)
변동성지수 15.87 (+8.03%)
10년물 금리 4.399%
MSCI 한국지수 -0.73%
야간선물 -0.18%
◎ 전망과 전략
계엄, 탄핵으로 이어진 하락과 반등 대부분 반영
계엄 이전 수준 복원하면서 추가 상승 동력 필요
외신은 그간 눌린 이유들이 다시 부각되는 중이라고
미국 금리, 삼성전자 실적, 트럼프 등장 등
특히 이번주 미국, 일본 통화정책 회의 앞둔 경계도
최근 미국 국채 금리 오른 점 신흥 시장에 부담
이런 가운데 매파적 인하 주장이 나온 상태
내년 금리인하 횟수에 대한 우려가 있음
엔캐리 이탈과 연결되는 일본도 통화정책 회의 대기
외국인 매도가 다시 늘어나며 지수 압박
외국인은 트럼프, 삼성전자 실적, 금리를 의식한 듯
다만 매도 급증 보다 매수 축소도 일부 영향
또 대형주 외 중소형주 흐름은 양호했음
하락 전환 보다 반등 후 매물 소화 과정으로 보임
종목별 차별화 장세가 진행되는 구간
기관 매수 종목 외 매도 마무리 종목들 관심
'일별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17일 오후장 특징주 (0) | 2024.12.18 |
---|---|
12월 18일 시장 주도주 (0) | 2024.12.18 |
12/17 주식 해피엔딩 시나리오 마감 시황 (0) | 2024.12.18 |
2024년 12월 18일 (수)<주요이슈점검> (0) | 2024.12.18 |
12월 17일 화요일 몽당연필의 장마감 시황 (0)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