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7일 시황. 젠슨황, 트럼프 등판에 움직인 증시
◎ 해외 증시
반도체주 강세에 나스닥, S&P500 상승
다우는 P&G, 허니웰, 코카콜라 부진에 소폭 하락
마이크로소프트 투자, 폭스콘 실적 효과 이어지는
800억달러 투자 계획 AI주들에 지속 호재로 작용
폭스콘는 투자가 당장 실적에 연계되고 있음 입증
4분기 매출 15.2% 증가한 547.2억달러 기록
젠슨황의 CES 기조 연설 앞두고 있는 점도
블랙웰 출시 일정, AI CPU 분야 진출 등 언급에 관심
엔비디아 장중 152달러 돌파하기도
마이크론 10%, 슈퍼마이크로 8%, ASML 7% 등 강세
트럼프 관세 정책 변화 가능성도 긍정적 영향
모든 제품에서 일부 핵심 제품에 부과하는 것 검토
이 경우 인플레 자극을 덜 할 것이라는 분석
다만 트럼프는 존재하지 않는 익명 보도라고 부인
GM은 일단 기대감에 상승세는 유지
달러 인덱스 1% 가량 하락. 유로 가치 상승
원달러 환율도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함
국채 금리는 상승, 10년물 4.6% 다시 상회
표면적으로는 트럼프 임기 임박과 연준 인사 발언
리사 쿡, 추가 인하하겠지만 인플레 감안 속도 늦춰야
노동 시장은 회복, 인플레는 생각보다 더뎌
이번주 1,190억달러 발행 일정이 이어짐
이 날 3년물 580억달러 발행 진행
내일 10년물 390억달러, 모레 30년물 220억달러 예정
씨티, 증시 변동성 가능성 염두, 방어주 집중해야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 감안. 헬스케어, 에너지, 금융 등
모건스탠리, 국채 금리 상승, 강달러 증시에 부담
상반기 고전 후 감세, 친시장 정책에 하반기 상승 예상
JP모건, 랠리 부담되나 경제 강해 약세 전환 가능성 낮아
코인 관련주들 강세, 번스타인 비트코인 20만달러 가능
UBS, 애플 앱스토어 매출 안정적. 목표가 236달러
다만 아이폰 수요 부진시 앱스토어 매출도 타격 주시
웨드부시, 아마존 올해 탑빅. 목표가 250 → 260달러
바클레이즈, 보잉 재무상태 개선 및 생산능력 확대
인도 대수 증가할 것. 목표 190 → 210달러
번스타인, 마이크로소프트 목표가 516달러로 상향
자본 지출 우려로 주가 못 올라. 올해 해소될 것
최근 3개월간 빅테크 실적 추정치는 상향
반면 그 외 종목들은 하향. 차별적 장세의 이유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8.26 (-0.63%)
국제유가 73.45달러 (-0.69%)
변동성지수 16.04 (-0.56%)
10년물 금리 4.612%
MSCI 한국지수 +3.03%
야간선물 +1.07%
◎ 전망과 전략
연초 증시는 낙폭, 대형주 호재 맞물리며 상승
MSCI 기준 한국 증시는 멕시코에 이어 끝에서 2위
달러 기준 지수상 작년 -20% 기록. 코스닥은 -30%
외국인 시각에서는 더 많이 빠진 것
이 후 수급에서 두 가지를 살펴 봐야
우선 외국인 움직임에 변화가 생긴 것인지
외국인 변화는 환율이 정점인지에 달려있음
계엄. 탄핵 국면으로 이어지는 상황으로 환율 급등
1,500원 부근이 정점이라면 외국인 움직이게 되는 것
외국인 매수 이어진다면 환율 1,500원 돌파 없다는 의미
외국인이 환차익 동시에 노리며 매수한다는 것
또 하나는 매수 업종 확산 여부
전일은 전기전자에 매수가 집중되었음
반도체 재료에 반응했다는 것
전기전자, 운수장비, 철강, 화학, 금융
이 5대 업종에 고르게 매수가 붙는지 중요
이 경우 한국 자체를 매수하게 되는 것
단기로는 연속 상승으로 매물이 나올 가능성도
그러나 종목 장세 흐름은 이어질 가능성
기관이 꾸준하게 끌어가는 종목군들
PBR 밴드 하단에서 이제 벗어난 종목들 관심 지속
'일별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7일 오전장 특징주 (0) | 2025.01.07 |
---|---|
1월 7일 시장 주도주 (0) | 2025.01.07 |
2025년 1월 7일 (화)<주요이슈점검> (0) | 2025.01.07 |
01월 06일 월요일 몽당연필의 장마감 시황 (0) | 2025.01.07 |
1월6일 오후장 특징주 (0)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