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일 시황. 딥시크로 시작해 관세로 마감한 한주
실적, PCE 등으로 상승하던 증시 관세로 하락 마감
11개 업종 중 9개 업종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매물
장초반 예상 부합한 PCE 등으로 상승세 출발
12월 PCE는 전년 2.6% 전월 0.3%로 예상 부합
근원도 2.8%, 0.2%로 발표. 예상 수치 그대로
TD증권, 근원은 반올림 전 0.156%. 긍정적 평가
소비 유지, 동시 인플레 압력은 둔화라고 해석
스파르탄 캐피탈. 추세 확인 더 필요. 시장 영향 제한
LPL파이낸셜은 낮아진 저축률 주목
소득 약화시 소비 위축 가능성 높아져
애플, 실적 발표 후 긍정적 전망도 장중 상승 요인
중국 판매 부진했으나 AI 기능으로 만회 전망
이번 분기 매출 한 자릿수 초반~중반 성장 예상
도이치뱅크, 회사측 가이던스에 투자자들 안도
JP모건. 260달러에서 270달러로 상향
골드만삭스도 인텔리전스 평가하며 목표 294달러
장중 지수 변동성 유발한 것은 관세
로이터, 주요국 관세 부과 시점 3월 1일로 보도
당초 알려진 2월 1일 아니라는 점에 안도하며 상승
그러나 장후반 백악관 대변인이 2월 1일이라고 언급
트럼프도 막판 멕시코, 캐나다 25%, 중국 10% 부과 발언
또 철강, 석유, 가스, 의약품, 반도체 등에도 부과
주식 시장 반응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는다고
이 소식 전해지며 막판 급격하게 하락세로 전환
모건스탠리. AI, 관세 등 투자심리 급변함을 보여준 사례
U.S. Bank Asset. 딥시크와 마찬가지로 첫 반응은 매도
둘 다 세부 정보 없는 상태라 직후 저가 매수 가동 못해
실제 정책 시행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움직여야
인프라 캐피털, 최근 매도세는 지나친 측면
다음주 아마존, 구글, 이 후 엔비디아 실적 나오며 해소 기대
금리는 연내 3회 인하 예상. 3월에 첫 인하 전망한다고
오스틴굴스비, 인플레이션 지속적으로 진전 보일 것
향 후 금리는 지금 보다 훨씬 낮아질 것으로 예상
관세의 인플레 영향은 일시적 예상
미셸 보우만. 인플레 상승 위험 지속 보이고 있어
인플레, 고용 시장 동향 신중하게 평가해야
엔비디아 -3% 밀리며 이번주 -16% 하락
젠슨황과 트럼프가 만난다는 소식에 장중 잠시 오르기도
HSBC, 딥시크 불구 자본 지출 축소 단기적으로 없을 것
엔비디아 투자의견 매수와 185달러 유지
Tigress Financial. 여전히 AI 테마의 핵심
스타게이트, AI 시장 확대 수혜, 강력 매수로 상향. 220달러
M7 용어 만든 BoA 하트넷은 미국 외 주식 매수 권고
매그니피센트7가 그니피센트7(Lagnificent7)로 바뀔 것
M7이 'Lag' 뒤처지는 주식이 될 것이라는 의미
유럽이나 일본 금융주 등을 주목해야 한다고
MSCI한국지수 -2.35%, 야간선물 -0.59%
'일별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3일 오전장 특징주 (0) | 2025.02.03 |
---|---|
2월 3일 시장 주도주 (0) | 2025.02.03 |
마감 시황. 밀린 숙제부터 끝낸 증시 (0) | 2025.02.03 |
2025년 2월 3일 (월)<주요이슈점검> (0) | 2025.02.03 |
1월31일 오후장 특징주 (0) | 2025.01.31 |